본문 바로가기
금융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by comtogood 2024. 11. 1.
반응형

 

기후변화로 스페인에서는 57년 만에 물난리가 나고 때아닌 진달래가 피기도 하고 사과농장에서는 너무 더워서 사과가 쩍쩍 갈라져 수확을 못하고 모두 폐기를 해야 하는 참 여러 가지로 어려운 시기인 듯합니다. 게다가  도이치주가와 사전선거, 러시아 북한군 파병까지 겹치면서 어수선한 연말을 보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좀 암울하기도 합니다.  미국 대선이 코앞이라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나쁜 소식만 있는 것은 아닌 듯합니다. 오는 2024년 12월부터는 이동통신사 3사가 3년 이상 연체된 30만 원 미만의 통신요금을 추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확하게 어떤 내용인지 간단하게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도록 할까 합니다.

 

 

 

추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안 마련

 

728x90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그동안은 통신채권에 대해서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더라도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금융채권의 경우 장기간 연체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추심할 수 없으나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을 통해 소멸시효가 완성된 금융채권에 대해서는 채권추심(위탁) 및 매각을 금지하고 있음)

 

이에, 금융감독원과 이동통신 3사(SKT, KT, LG U+ )는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쳐 소액의 통신요금을 장기 연체한 소비자가 추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3년 이상 연체된 30만 원 미만 추심금지 대상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24.12월*부터 이동통신 3사는 3년 이상 연체된 30만 원 미만의 통신요금에 대해 직접 추심하거나 그 추심을 위탁하지 않으며 매각**도 하지 않습니다.

SKT는 ’ 24.12.1일부터, KT 및 LG U+ 는 ‘24.12월 말부터 시작할 계획

현재도 금액에 상관없이 매각을 하고 있지 않음

 

통신요금을 3년 이상 연체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 중

3년 이상 연체 시 소멸시효 완성 여부와 상관없이 적용(예 : ‘22.1월 ∼ 3월까지 매월 통신요금을 연체한 경우 ’ 22.1월을 기준으로 3년 이상 여부를 판단)

 

해당 소비자가 사용한 연체된 모든 회선의 통신요금을 합하여 30만 원 미만이면 추심금지 대상에 해당됩니다.

이동전화 및 유선서비스 요금, 콘텐츠 이용료 등 통신사가 청구하는 금액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5∼6만 원) 및 유선서비스 요금(3∼4만 원)과 통신요금 연체 시 최대 3개월까지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점 등 고려

 

 


 

 

유의사항 및 효과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3년 이상 연체 30만원 미만 통신요금 12월부터 추심안됨

 

 

장기간 채권추심 압박을 받은 소비자가 추심에서 벗어나 평범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금융감독원은 부당한 채권추심 방지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합니다.

다만, 통신요금에 대해 추심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연체한 통신요금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통신사의 안내 및 홈페이지 등 통해 본인의 미납된 통신상품 및 금액 확인 가능

또한, 금융·통신채무를 동시에 미납한 소비자를 위해 신용회복위원회의 ‘금융·통신 통합채무조정’을 운영 중이므로 채무 변제 시 이를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http://www.fss.or.kr)

 

 

 

 

 

 

 

반응형